-
[ 목차 ]
최근 온라인에서 ‘지브리 그림 만들기’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SNS, 유튜브, 블로그 곳곳에서 등장하는 이 트렌드는 실제로는 ChatGPT와 이미지 생성 AI를 함께 활용하는 방식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른바 챗GPT 지브리 스타일 생성법에 대해,
✔️ 어떤 도구들이 사용되는지
✔️ 어떤 방식으로 만들 수 있는지
✔️ 그리고 왜 조심해야 하는지를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 ‘챗GPT 지브리 방법’이란?
먼저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할 것!
ChatGPT는 이미지 생성 도구가 아니라, 텍스트 생성 AI입니다.
그렇다면 왜 ‘챗GPT로 지브리 그림 만든다’는 말이 나오는 걸까요?
👉 그것은 ChatGPT가 ‘이미지를 그릴 AI에 전달할 고급 지시문(Prompt)’을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즉, 지브리풍 그림은 다음 과정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내가 원하는 장면, 느낌, 분위기를 ChatGPT에게 설명
챗GPT가 그에 맞는 영어 프롬프트 생성
생성된 프롬프트를 DALL·E, Midjourney 등의 AI 그림 도구에 입력
완성된 지브리 스타일 그림 확인!
🧠 프롬프트를 이렇게 만들어야 진짜 ‘지브리’ 느낌 납니다
단순히 “지브리 스타일로 그려줘”라고 입력한다고 되는 게 아니에요.
AI는 섬세한 묘사와 정확한 설명을 좋아합니다.
✔️ 프롬프트에 꼭 들어가야 할 요소들
분위기: 따뜻한 빛, 잔잔한 감성, 고요한 자연 등
화풍: 수채화 느낌, 손으로 그린 듯한 선
배경: 시골 마을, 숲길, 구름 낀 하늘
인물 디테일: 동그란 얼굴, 큰 눈, 심플한 의상
직접적인 지브리 언급은 피하고, “classic Japanese animation style” 등 우회적으로 표현
📌 예시 프롬프트
“A little girl standing in a golden field at sunset, with warm sunlight, watercolor painting style, hand-drawn animation feel, inspired by gentle fantasy animation.”
🛠️ 어떤 도구와 함께 써야 할까?
챗GPT는 프롬프트 작성 전문가라고 생각하면 되고, 그림을 실제로 그리는 도구는 아래 중 하나를 사용해야 해요.
✅ DALL·E (OpenAI)
챗GPT Plus에서 직접 그림 생성 가능
텍스트 삽입된 이미지까지 지원
✅ Midjourney
디스코드 기반
‘지브리풍’ 묘사에 탁월
세밀한 프롬프트 구성 필수
✅ Leonardo.ai / Bluewillow
초보자도 사용 가능
스타일 선택 기능이 다양함
💬 ChatGPT에 이렇게 요청해보세요!
“지브리 스타일의 일몰 들판 풍경을 그릴 수 있는 프롬프트를 영어로 작성해줘. 색감, 배경, 구도도 포함해줘.”
혹은 “Midjourney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 감성의 풍경 일러스트 프롬프트를 만들어줘.”
이런 식으로 요청하면, 복잡하고 정교한 프롬프트를 챗GPT가 대신 짜줍니다.
🚨 그런데… 이거 정말 괜찮은 걸까?
지브리풍 그림을 만드는 건 꽤 재미있는 작업이지만, 꼭 고려해야 할 중요한 윤리적 이슈가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가능성
‘지브리’는 하나의 상표이며, 그 고유한 스타일 자체도 창작의 결과물입니다.
그림에 특정 캐릭터가 없어도, 상업적으로 활용하거나 유사성이 짙으면 저작권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창작자에 대한 존중
지브리 애니메이션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과 수많은 스태프의 수십 년 노력이 담긴 예술작품입니다.
AI가 이를 흉내 내는 건, 그들의 창작 가치를 침해할 수 있어요.
📛 AI 학습 윤리
AI가 이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이유는?
대개 공식 허가 없이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로 학습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저작권자 동의 없이 학습된 것이며, 도덕적으로도 찬반이 존재합니다.
✅ 마무리: 기술의 놀라움 속, 책임도 함께 생각하기
지브리풍 그림을 AI로 만들어보는 건 분명히 흥미로운 경험입니다.
하지만 기술이 아무리 편리해져도, 우리가 그걸 어디에 어떻게 쓰는지는 우리의 책임이죠.
🎯 재미로 개인 SNS에 공유하는 수준이라면 큰 문제는 없겠지만,
💥 이를 상업적으로 사용하거나 원작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방향이라면 반드시 조심해야 합니다.
AI 시대의 창작은 자유이지만, 그 자유엔 윤리가 함께 따라야 합니다.